설리반의 대인관계 이론
설리반은 자아(self)가 사회적 상호작용, 특히 대인관계를 통해 발달한다고 보았습니다. 그는 자아를 ‘자아보호체계(self-system)’라는 용어로 설명했는데, 이는 불안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안전 작동 기제 (security operations)입니다. 이 기제는 개인이 대인관계에서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독특한 전략을 의미합니다.
자아체계는 추상적인 개념이며, 불안한 아동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합니다. 부모의 요구에 순응하는 것은 불안을 완전히 해소하지 못하고, 오히려 진정한 자아 발달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아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상호 만족하는 대인관계는 불안정한 자아체계를 안정적이고 성숙한 자아체계로 변화시키는 핵심적인 경험입니다.
설리반은 자아체계와 진정한 자아 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정신분열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설리반은 개인이 불안을 경험하면서 세 가지 자아상, 즉 ‘좋은 나(good-me)’, ‘나쁜 나(bad-me)’, ‘나 아닌 나(not-me)’를 형성한다고 보았습니다.
- 좋은 나 (Good-Me): 만족스럽고 기쁨을 주는 어머니와의 대인관계에서 비롯됩니다. 아이가 요구하는 것에 대해 어머니가 즉각적이고 적절하게 반응하고 보상해줄 때 형성됩니다.
유사 이론: Bowlby의 애착 이론 (유아의 욕구에 대한 민감한 반응), Ainsworth의 모성 민감성 (유아의 신호에 대한 즉각적이고 적절한 반응).
- 나쁜 나 (Bad-Me): 불안을 유발하는 어머니의 행동, 즉 유아의 특정 행동에 대한 과민 반응이나 긴장된 반응으로 인해 형성됩니다.
유사 이론: Ainsworth의 모성 민감성 (불안, 두려움을 느끼는 아이들의 엄마).
- 나 아닌 나 (Not-Me): 강렬한 불안을 경험하면서 형성되며, 현실과의 접촉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경험을 제대로 조직하지 못하게 합니다. 이는 대인관계 추론을 어렵게 하고, 경험 내용과 감정을 분리시킵니다. 정상적인 사람은 꿈을 꾸는 동안을 제외하고는 거의 경험하지 않지만, 정신분열증 환자들은 자주 경험합니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양육 방식, 즉 유아의 반응에 어떻게 대처하고 보상하는지가 자아상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설리반은 대인관계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주요 양상으로 역동성(dynamisms), 인간상 형성(personifications), 경험 양식(modes of experience)을 제시했습니다.
- 역동성 (Dynamisms): 개인의 대인관계와 정서적 기능을 특징짓는, 비교적 지속되는 에너지 변형 패턴입니다. 습관처럼 반복되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행동을 의미하며, 개인 연구에 적용될 수 있는 가장 작은 단위입니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더 많은 역동성이 형성됩니다. 넓은 의미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에서 개인의 행동 및 태도가 밖으로 드러나는 것을 의미합니다.
- 인간상 형성 (Personifications): 개인이 자신 또는 다른 사람에 대해 형성하는 이미지입니다. 욕구 만족 및 불안 경험에서 비롯되는 감정, 태도, 개념의 복합체입니다. 유아기에 시작되며, 자신을 불안으로부터 보호하려는 것과 관련이 있습니다. 특정 사람들에 대해 일관된 지각을 형성함으로써, 개인은 일관된 방식으로 그들에게 반응합니다.
- 경험 양식 (Modes of Experience): 개인이 세계를 경험하는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과 관계하는 세 가지 인지, 사고 수준을 의미합니다. 원형적, 병렬적, 통합적 경험이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질문에서 설명)
설리반은 개인이 세계를 경험하는 세 가지 방식으로 원형적 경험(prototaxic experience), 병렬적 경험(parataxic experience), 통합적 경험(syntaxic experience)을 제시했습니다.
- 원형적 경험 (Prototaxic Experience): 조잡한 감각 단계의 사고를 말하며, 인생 초기의 원초적 경험입니다. 생후 몇 개월 동안 유아에게 나타나며, 분리되고 관련이 없으며, 무선적이고 비조직적입니다. 순간적이며 새로운 경험의 영향으로 쉽게 잊힙니다.
- 병렬적 경험 (Parataxic Experience): 사물 간의 연관성을 잘 맺지 못하는 단계의 사고입니다. 사물을 나란히 놓지만, 서로 간에 관련을 짓지 못하는 배열을 의미합니다. 다양한 경험 간에 관련을 짓지만, 논리적인 인과관계의 규칙을 따르지 않습니다. 유아는 병렬적 사고를 통해 자신과 자신이 아닌 것을 구별하기 시작합니다.
- 통합적 경험 (Syntaxic Experience): 조화로운 방식으로 연결되도록 사물을 배열하는 현실적인 평가 단계의 사고입니다. 물리적, 공간적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결과에 대한 지식으로부터 원인을 예측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현재, 과거, 미래의 논리적인 통합을 의미하며, 논리적 관계를 학습하고 비논리적인 것에 대한 자신의 지각을 검증할 수 있습니다.
설리반은 불안에 대한 주요 방어 기제로 해리(dissociation)와 병렬적 왜곡(parataxic distortion)을 제시했습니다.
- 해리 (Dissociation): 자기 역동성과 부합하지 않는 행동, 태도, 욕망을 의식적인 자각으로부터 배제시키는 것입니다. 프로이트의 부정(denial)과 억압(repression)과 매우 유사한 개념입니다. 자기를 보호하고 자기에게 위협적인 것에 민감하게 작동하며, 개인은 단순히 사회적으로 수용할 수 없고 불쾌한 경험을 보거나 듣지 않으며 회상할 수 없습니다. 즉, 불안을 야기하는 모든 현실적인 측면을 배제시키는 선택적 부주의(selective inattention)와 같습니다.
- 병렬적 왜곡 (Parataxic Distortion): 타인에 대한 개인의 반응이 자신이 경험해 왔던 나쁜 관계에 의해 편향되거나 왜곡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우리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주며, 서로 간의 올바른 관련을 맺지 못하게 합니다.
설리반은 성격 발달을 유아기, 아동기, 아동 후기(소년기), 청소년 전기, 청소년 중기, 청소년 후기, 성인기의 일곱 단계로 나누었습니다.
단계 | 연령 (대략) | 주요 특징 | 경험 양식 | 자아 체계 |
---|---|---|---|---|
유아기 (Infancy) | 0-18개월 | 출생 ~ 언어 능력 획득. 자신을 독립된 개체로 인식하기 시작. | 주로 원형적 | 역동성 형성 시작 |
아동기 (Childhood) | 18개월 ~ 5-6세 | 언어 능력 발달. 성 역할 인지. 타인 지각 및 조작 능력 발달. | 병렬적 → 통합적 | 성 역할 인지 |
아동 후기 (소년기, Juvenile Era) | 5-6세 ~ 11세 | 학교생활 시작. 사회화 수준 높아짐. 타인과 협동, 경쟁. | 통합적 | 욕구 통합, 내적 통제 |
청소년 전기 (Preadolescence) | 11세 ~ 13세 | 동성 또래와 친밀한 관계 형성. 상호적 사랑 경험. | 통합적 | 다소 안정적 |
청소년 중기 (Early Adolescence) | 12세 ~ 17세 | 성적 욕망 나타남. 동성 친밀감 + 이성 애정 욕구. | 통합적 | 혼란스럽지만 여전히 안정적 |
청소년 후기 (Late Adolescence) | 17세 ~ 20대 초반 | 친밀감 + 애정 욕구 통합 → 이성 한 사람에게 집중. | 완전한 통합적 | 통합되고 안정적 |
성인기 (Adulthood) | 20세 ~ 30세 | 결혼, 부모 역할. | 통합적, 상징적 | 완전히 안정적 |
설리반은 치료자와 환자 간의 의미 있는 대인관계 상호작용으로서 면담을 제시했으며, 면담은 개시, 정찰, 정밀 탐색, 종결의 네 단계로 구성됩니다.
- 개시 (Inception): 치료자와 환자가 서로를 소개하는 단계입니다. 치료자는 많은 질문을 하지 않고 조용한 관찰자 태도를 유지해야 합니다. 환자가 정신과적 조력을 찾는 이유와 문제의 본질에 대한 중요한 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 정찰 (Reconnaissance): 보다 구체적인 질문을 통해 정보를 얻고, 환자의 자아와 장애 원인에 대한 가설을 형성하는 단계입니다.
- 정밀 탐색 (Detailed Inquiry): 정찰 단계에서 세운 가설 중 가장 타당하고 유용한 가설을 결정하려고 시도하는 단계입니다. 환자의 과거 및 현재의 대인관계를 탐색합니다.
- 종결 (Termination): 치료자가 수집한 자료를 요약하고 해석하여 환자가 이행할 행동 처방을 설정하는 단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