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담심리개론 : 상담 이론

목차

상담심리개론: 상담 이론

Ⅰ. 상담의 정의

1. 상담의 정의

  • Williamson과 Foley (1949): 상담은 훈련, 기술, 신뢰를 바탕으로 상담자가 내담자의 적응 문제를 해결하는 면대면 상호작용입니다.
  • C. Rogers (1952): 상담은 치료자와의 안전한 관계 속에서 자아 구조가 이완되고, 이전에 부정했던 경험을 자각하여 새로운 자아로 통합하는 과정입니다.
  • 정원식과 박성수 (1978): 상담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과 도움을 줄 수 있는 사람 사이의 개별적 관계를 통한 새로운 학습 과정입니다.
  • 이장호 (1995): 상담은 도움을 필요로 하는 사람(내담자)이 전문 훈련을 받은 사람(상담자)과의 대면 관계에서 생활 과제 해결과 사고, 행동, 감정 측면의 인간적 성장을 위한 학습 과정입니다.
  • 이재창 (1988): 상담은 전문 훈련을 받은 상담자가 내담자의 자신과 주위 환경에 대한 이해를 촉진하여 적응과 발달을 위한 행동 변화, 즉 개인의 성장을 가져오게 하는 상호작용 학습 과정입니다.
  • 맹주성 (현재): 상담은 사랑하는 것입니다.
  • Rollo May: 사랑은 다른 사람의 존재로 즐거움을 느끼고, 자신의 가치만큼 그 사람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 것입니다.
  • Scott Peck: 사랑은 자신 또는 다른 사람의 영적 성장을 위해 자신을 기꺼이 희생하려는 마음입니다.

2. 상담 정의에 나타난 상담의 특징

  • 상담은 전문 상담자에 의해 제공되는 전문적인 활동입니다.
  • 상담은 상담자와 내담자의 관계에 기초를 둔 과정입니다.
  • 상담은 의사결정문제해결에 관여합니다.
  • 상담은 내담자가 새로운 행동을 학습하거나 새로운 태도를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 상담은 개인 존중에 기초한 상담자와 내담자의 상호 협력 활동입니다.

3. 상담, 생활지도, 심리치료의 개념 비교

(1) 정원식과 박성수의 개념 (1978)

  • 단순 정보/기술적 정보를 필요로 하는 문제: 조언 (생활지도)
  • 태도/심리적 갈등 문제: 카운슬링 (상담)
  • 정신질환: 심리치료 (정신치료)

(2) 이장호의 개념 (1980)

  • 정보 제공, 조언, 의사결정을 요하는 문제: 생활지도
  • 행동, 태도 변화/사고 및 심리적 갈등 문제: 상담
  • 성격 및 정신장애: 심리치료

(3) 홍강의의 개념 (1993)

가정 교육, 생활지도, 상담, 정신치료(심리치료), 약물 치료 및 입원 영역으로 구분 (가정 내 훈육에서부터 정신분열까지)

상담을 생활지도, 심리치료와 동일시할 것인가,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논의가 있습니다.

4. 개인상담과 집단상담의 차이점

구분 개인상담 집단상담
적합한 경우
  • 문제가 위급하거나 원인과 해결이 복잡한 경우
  • 내담자와 관련된 사람의 신상 보호가 필요한 경우
  • 집단 발표 시 심한 공포/불안이 있는 내담자
  • 자기 이해가 필요한 경우
  • 타인의 조언과 반응이 필요한 경우
  • 타인과의 관계를 맺는 사회적 기술이 필요한 경우

Ⅱ. 상담의 이론

현대 심리학의 3대 주류: 정신분석학, 인간중심, 행동주의 심리학

가. 정신분석이론

1. 개관

  • 정신분석(psychoanalysis)은 성격 발달 이론, 인간 본성에 관한 철학, 심리치료 방법입니다.
  • 1890년대부터 Sigmund Freud에 의해 연구, 체계화되었습니다.
  • 1910년 이후 후계자(Alfred Adler, Carl Jung, Otto Rank, Horney, Sullivan 등)에 의해 수정, 보완되었습니다. (신정신분석학파)
  • Freud 자신의 치료 경험, 자아 분석, 광범위한 임상 관찰을 토대로 합니다.

2. 발달

  • Freud의 전통적 정신분석학(traditional psychoanalysis): 인간 행동의 기본 동기를 성적 에너지로 봅니다.
  • Jung의 분석이론(analytic theory): 무의식 과정을 중요하게 보지만(전통적 정신분석학과 유사), 개인적/종족의 역사와 목적, 욕망에 따라 인간 행동이 좌우된다고 하여 실재했던 과거와 가능성을 지닌 미래가 동시에 인간의 현재 행동을 이끈다고 봅니다(전통적 정신분석학과 차이점).
  • Adler: 사회적 관심과 우월성 추구라는 두 가지 개념을 근거로 정신분석학을 발전시켰습니다.
  • Sullivan: 인간관계 이론에 근거한 성격 이론 및 심리치료 방법을 발전시켰습니다.

3. Freud의 생애 (1856~1939)

  • 1856년 체코슬로바키아 Moravia의 Freiberg에서 출생, 1939년 런던에서 사망. Vienna에서 거의 80년 가까이 생활(1859년 경제 공황으로 아버지 사업 파산, 가족 Vienna 이사, Freud를 Vienna 출신으로 생각).
  • 아버지(Jacob, 41세, textile dealer)의 두 번째(or 세 번째) 부인(Amalia, 21세)의 8남매(18개월에 죽은 동생 있음) 중 맏이. 20살 이상 많은 이복형제 2명(Emmanuel과 Philippe) 존재.
  • 17세에 Gymnasium(중등학교) 졸업, 1873년 Vienna 대학 의과대학 입학, 신경학 연구(neurological research)에 열중.
  • 학자를 원했기에 개업 생각 X, 신경계(nervous system) 연구 헌신(Hall, 1954).
  • 학자 보수 부족, 반유대주의 팽배로 Vienna에 남지 못하고 개업의 길 선택.
  • 1885년 프랑스 소르본느 대학 Jean Charcot 강의/임상 실험 흥미, 신경학자에서 정신병리학자로 전환 계기.
  • France에서 1년간 Charcot의 히스테리 치료 최면술(hypnosis) 학습(Stone, 1971).
  • 최면 효과 일시적, 문제 중심 X 불만족. Joseph Breuer와 연구, 치료 형태 정화법(catharsis) 효과 인지.
  • 1890년대 무의식 집중 분석 시작. 꿈 분석, 마음 떠오르는 생각 살펴봄, 내면 역학 작용 인지.
  • 환자/자신으로부터 얻은 지식 기초, 성격 이론(a theory of personality) 기초(Hall, 1954, p. 17).
  • Carl Jung, Alfred Adler, Ernest Jones, Wilhelm Stekel 등 영향력 있는 과학자, Freud 이론 중요 발전 인정, 곧 Freud와 절교(Adler, Stekel, Rank, Jung은 인간 행동 동기로서 성적 충동 주장 반대).
  • Freud 저술 63년, 600권 이상 출판. 『Sigmund Freud의 완벽한 심리학 저서의 표준판』 24권 영어 출판. 유명 저술: 『꿈의 해석』(1900), 『일상 생활의 정신병리학』(1901), 『정신분석학의 새로운 입문 강의』(1933/1965b).
  • 하루 18시간 일, 생산적/창조적. 1923년부터 후두부/턱 암, 33번 수술, 연구 지속.
  • 1939년 3월 23일 83세 런던 사망.

4. 주요 개념

1) 인간관
  • 비합리적, 결정론적, 비관적 존재
  • 인간 행동: 기본적인 생물학적 충동과 본능을 만족시키려는 욕망에 의해 동기화됨.
  • 개인: 과거 생활 경험, 특히 출생~5세 사이 어린 시절 경험한 무의식 속 잠재 심리 성적 사건에 의해 결정된 존재.
2) 의식 수준과 성격 구조
(1) 의식, 전의식, 무의식
  • 초기 성격 구조 이론 중심 개념: 무의식적 정신 과정
  • 1920년대 정신 생활 개념 모형 수정: 원욕(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제시
  • 인간 세 가지 의식 수준: 의식(consciousness), 전의식(preconsciousness), 무의식(unconsciousness)

① 의식

  • 개인이 현재 각성하고 있는 모든 행위와 감정 포함.
  • 인간 생활 극히 일부분, 내용 잠시 동안 의식.
  • 주의 다른 곳, 빠르게 전의식/무의식 사라짐.

② 전의식

  • “이용 가능한 기억”
  • 조금 노력, 의식 속 떠올릴 수 있는 생각/감정 포함.
  • 정신세계 무의식-의식 영역 연결.
  • 정신분석 기술, 무의식 내용 전의식, 의식화 가능 주장.

③ 무의식

  • 가장 중요한 의식 수준 기술.
  • 무의식 내용, 인간 행동 동기 작용.
  • 개인 힘, 의식 떠올릴 수 없는 생각/감정 포함.
  • 자신/사회 용납 X 감정/생각/충동 억압.
  • 억압 무의식 내용, 개인 내적 갈등 경험, 본래 모습과 달리 왜곡 증상.
  • 무의식적 가장/왜곡 증상 보이는 경험 의식 수준, 상담/심리치료 도움 필요.
  • 인간 모든 정신 과정 무의식 기원.
(2) 원욕, 자아, 초자아

① 원욕 (id, 원초아)

  • 처음 “무의식” 불렀던 성격 부분.
  • 생득적, 기본적 생물학적 반사/충동/본능 포함.
  • 원욕, 자아/초자아 분화, 정신적 에너지 저장소, 자아/초자아 작용 힘 제공.
  • 쾌락 원리 지배.
  • 원욕 작용: 고통 최소화, 쾌 최대화, 즉각적 긴장 해소.

② 자아 (ego)

  • 자신의 마음속-외계 구별, 현실 원리 입각, 욕구 충족 적합 대상 발견 시까지 긴장 해소 보류.
  • 원욕: 객관적 현실 세계 상관없이 개인 주관적 경험 내적 세계 본능적 욕구/충동만 나타내려 함.
  • 현실적 사고 과정, 통제, 반응 환경 성질 검토/선정, 어떤 욕구 어떤 방법 만족 결정(=현실 검정 과정).
  • 현실 무시, 쾌락 원리 입각 원욕 작용 – 이상 지향적 초자아 작용 사이 통합/조정 중재자 역할.
  • 개인 본능적 욕구-주위 환경 상태 조정, 궁극적 개인 생활 유지.

③ 초자아 (superego)

  • 부모 설명, 부모 보상/처벌 반응 발달.
  • 사회 전통적 가치/이상 내적 기준.
  • 성격 도덕적 무기, 현실 < 이상, 쾌락 < 완성 위해 작용.
  • 원욕 충동 조절, 현실적 < 완전 대한 우위성 자아 설득.
(3) 세 가지 의식 수준과 세 가지 성격 구조 관계
  • 자아/초자아: 의식, 전의식, 무의식 상태 모두 포함.
  • 원욕: 전적 무의식적.
  • 원욕: 자아 매체 통해서만 외계 접촉.
  • 무의식: 원욕, 자아, 초자아 세 가지 성격 구조 부분적 모두 포함.
  • 원욕 무의식 영역 차지 비율, 다른 두 구조 비교 X 만큼 큼.
  • 자아, 억압/저항 의한 무의식적 내용 포함.
  • 본능적 원욕, 무의식 영역 대부분 차지.
3) 성격의 역동성
  • 에너지 한 형태 -> 다른 형태 전환, 전체 우주 체계 소실 X 에너지 보존 법칙 기본 가정.
  • 인간 유기체, 복잡 에너지 체제, 정신적 에너지 신체적 에너지 전환, 반대 가능 생각.
  • 신체적 에너지-정신적 에너지 전환 교량 역할, 원욕, 원욕 포함 본능.
(1) 정신적 에너지원으로서의 본능
  • 본능: 신체 조직상 욕구 야기 흥분 상태 소망(wish) 형태 나타나는 것.
  • 본능: 유기체 외부 표현, 긴장 감소 추구.
  • 본능: 원욕 포함 힘 원천.
  • 본능 두 가지 구분

① 삶의 본능 (Eros)

  • 자기 보존적 본능, 성적 본능.
  • 삶 본능, 성격 발달 가장 큰 영향력 발휘, 성 본능.
  • 성 본능 내재 정신적 에너지 리비도(libido).
  • 리비도: 성적 본능 정신적 측면, 일반적 삶 본능 불림.
  • 삶 본능, 생명 유지/발전, 자신/타인 사랑, 종족 번창.

② 죽음의 본능 (Thanatos)

  • 파괴 본능, 생물체 무생물 환원 본능.
  • 죽음 본능, 인간 결국 사멸, 살아있는 동안 자신 파괴, 처벌, 타인/환경 파괴 싸움/공격 행동.
  • 잔인성, 공격, 자살, 살인 행동 특성.
(2) 정신적 에너지와 원욕, 자아, 초자아
  • 성격 세 체계 간, 한정 에너지 서로 사용 경쟁, 결과 한 체계 에너지 확보, 다른 두 체계 희생.

① 원욕

  • 본능 포함 모든 에너지원 보유.
  • 반사 작용, 일차 과정 심리적 과정 의한 소원 성취(wish-fulfillment) 위해 에너지 사용.
  • 쾌락 원리 입각, 본능 충족 실제 활동/심상 에너지 투여(본능적 대상 선택 or 대상-심적 부착⇒타인/일/심상 투여 정서적 애착).

② 자아

  • 자체 에너지 원천 X, 원욕 힘 빌림.
  • 원욕 전환 에너지 기초, 논리적/현실적 사고 과정 이차 과정, 주관적 내부 세계-객관적 외계 세계 고려 욕구 충족(동일시 기제 작용).
  • 동일시: 정신적 표현-물리적 현실, 마음속-외부 세계 관련.
  • 자아, 세 가지 성격 체계 간 통합 위해 에너지 사용 ⇒ 성격 내부 조화, 자아-환경 복합적 상호작용 원활/효과적.

③ 초자아

  • 부모 상/벌, 도덕률/전통적 가치 학습, 기초 초자아 발전.
  • 어린아이 부모 동일시 과정, 정신적 에너지 사용.
  • 가끔 원욕 충동 정반대 일.

원욕: 추진력만, 자아/초자아 에너지: 본능 목표 충족/억제 사용.

자아: 원욕/초자아 적절 작용 점검, 외계 필요 상호 교섭 사용 정신적 에너지 충분 저장 기능.

원욕 지배적 개인 행동: 충동적, 원시적 성격 특성.

초자아 지배적 개인 성격: 도덕적 면 치중.

(3) 불안

① 신경증적 불안

  • 자아, 원욕-현실-초자아 간 적절 중재, 원욕 생물학적 욕구 충족, 현실 고려, 초자아 도덕적 이상 제한 수용.
  • 개인, 원욕 포함 억압 욕구/충동, 특히 성적 충동/공격적 충동 자아 적절 조절 X, 불안 경험(신경증적 불안).
  • 신경증적 불안, 처음 현실적 불안 발달, 실제 불안 원인 개인 의식 X 특징.

② 현실적 불안

  • 현실적 근거 있는 객관적 불안(ex. 독사, 맹수, 지진, 학기말 시험).
  • 외부 세계 실제적 위협 현실적 반응.
  • 일반적 두려움.

③ 도덕적 불안

  • 초자아 강한 사람, 배운 도덕률 위배/생각, 죄의식, 불안 경험.
  • 양심 두려움.
  • 자아 초자아 벌 위협 시 일어나는 정서 반응.

불안: 개인 닥쳐오는 절박 위협 경고 기능.

불안: 적절 조치 X, 위험 증대, 자아 전복 사실 알려주는 경고 신호.

불안: 개인 위험 상황 적합 방법 반응.

합리적 방법 불안 상대 X, 비현실적 의존(⇒방어기제 사용).

4) 방어 기제 (Defence Mechanisms)
  • 자아, 방어 기제, 과중 압력/불안 자신 보호.
  • 원욕 포함 사회적 용납 X 욕구/충동 사실적 표현 – 맞선 초자아 압력 발생 불안, 자아 보호 전략.
  • 특징: ① 무의식적 작용, 본인 X. ② 개인 현실 거부/왜곡 지각, 불안 자아 보호.
  • Patton과 Meara(1991): 방어, 불안/우울함 피하기 위한 목적 마음 작용 지적.
  • 건강/높은 기능 자아, 효과적/현실 기초 과제 중심 대처 기술, 불안/우울/스트레스 대처 시도.
  • 부담 과중, 자아 단기간 구원 제공 방어 중심 대처 방법 호소, 방법 현실 부정/왜곡, 일반적 더 많은 문제 야기.
  • Clark(1991): 방어 기제 자동적/습관적 반응, 고통스러운 감정/갈등 감소 무의식적 현실 왜곡 정의.
  • 방어 기제, 갈등 해결, 불안 제거 사용 구체적/무의식적 적응 노력.

(1) 억압 (repression)

  • 의식 중 위험 기억, 갈등, 생각, 지각 무의식 속 억눌려진 소재 다시 표면 나오지 X 규제.
  • 억압 상태, 사람 무의식적 기억 고통스러운 생각 기억 X 차단.
  • 선택적 망각.
  • 사회적/윤리적 용납 X 생각 욕구/충동/사고 자신 무의식 속 숨김.
  • 용납 X 욕구/충동/생각 불안 자아 보호.
  • 억압 내용 해결 X, 무의식 남아 현재 개인 행동 동기 작용.
  • 꿈, 농담, 말 실수 등 나타남.
  • 자발적/의식적 억제(suppression) 구별.
  • 모든 신경증적 행동, 정신 신체 장애 근본 원인.
  • ex. 성취도 낮은 아동, 이전 실패 학교 경험 고통스러운 기억 억압.

(2) 반동 형성 (reaction formation)

  • 억압된 것 정반대 태도/성격 발달.
  • 불안 유발 충동, 의식 속 정반대 대치.
  • 실제 욕구/충동 등 반대 행동, 금지된 욕구/충동 표출 불안 자신 보호.
  • 단계: ① 용납 X 충동/욕구/생각 억압. ② 반대 행동.
  • ex. 강한 성욕 의식 불안 부인→외설적 영화 상영 반대 선동가.
  • ex. “나는 폭주 좋아해” → “술 불법 공표”. 성취도 낮은 아동, “나는 얼간이 되길 원하지 않아요. 얼간이는 선생님 좋은 성적 받기 위해 아첨해요”.

(3) 투사 (projection)

  • 자신 특성 외부 세계 다른 사람/사물 돌림.
  • 자신 스스로 수용 X 충동/태도 등 무의식적 타인/환경 탓 돌리는 행동 기제.
  • 자신 결점 다른 사람/사물 전가 비난, 자신 결함/약점 위험/불안 자아 보호.
  • ex. “어설픈 목수 연장 나무람”, “내가 그를 싫어 한다” 대신 “그가 나를 싫어 한다”.
  • ex. 교사 자신 학급 아이들 좋아하지 않는다는 것 인정 싫음, 대신 아이들 자신 좋아하지 않는다고 말. 교사 학생 싫어하는 것 거꾸로 학생 자신 싫어한다고 투사. 성취도 낮은 아동, “선생님 나 좋아하지 않아. 선생님 나 바보 생각해”.

(4) 합리화 (rationalization)

  • 자신 행동 정당/합리적 입증 시도, 자신/다른 사람 승인.
  • 현실 왜곡 자존심 보호 행동 기제.
  • “불합리한 추리”
  • ex. “신 포도“, 여학생 거절 남학생→그 여학생 못생겼다고 결론.
  • ex. 성취도 낮은 아동, “만약 내 어린 동생 나 괴롭히지 않았다면, 숙제 마칠 수 있었을 텐데”.
  • 의식적 거짓말 다름.

(5) 치환 (displacement) (전위)

  • 본능 차단 시, 일차적 대상 -> 대체 대상 에너지 다시 돌림.
  • ex. 부모 분노, 부모 보복 두려움, 형제/다른 대상 향함. 성취도 낮은 아동, “우리 공부하는 것 너무 지루해서 결코 좋은 성적 받을 수 없을 거예요”. 아동, 교사 적대감 교과 탓 돌림.
  • 본능적 충동 표현 재조정, 위협 덜어주는 상대 대신 행동 기제.
  • ex. 아버지 꾸중 형→동생/개 화풀이.
  • 타인 향한 적대적 충동 자신 돌리는 경우⇒우울증, 자기 멸시 원인.

(6) 승화 (sublimation)

  • 승화, 사람들 리비도 욕망/에너지 생산적/수용 가능 활동 바꿈.
  • 바뀐 에너지, 예술, 과학, 삶 질/문명 커다란 진보 가져옴.
  • 외과 의사/백정, 리비도 욕구 해소 살인광, 더 생산적/수용 가능 통로 생각.
  • 부모/교사, 아동 커다란 에너지 생산적 배출 길 찾도록 도움.
  • 억압 충동/욕구 발산 방향 완전 사회적 인정 가치 목표 실현, 충동/욕구 만족 행동 기제.
  • ex. 성취도 낮은 아동, TV, 불량 학생 집단 활동, 과식/약물 등 부정적 중독 쉬움.
  • ex. 레오나르도 다빈치 「마돈나」→어릴 때 헤어진 어머니 그리움 표현.
  • 본능적 에너지 원천/목표, 긴장 감소 대상만 변함.

(7) 고착과 퇴행

① 고착 (fixation)

  • 개인 현재 발달 단계 해결 어려움/문제 내포 다음 단계 이동 < 현재 발달 단계 머무름.
  • 성공, 즐겁고 편안한 상황 머무름.
  • 발달 과정 좌절/불안 개인 너무 클 때, 개인 성장 일시적/영구 정지.

② 퇴행 (regression)

  • 현재 수준 < 낮은 이전 발달 단계 돌아감.
  • 비교적 나이든 아동, 신생아 태어나면 어린애 같은 행동 되돌아감.
  • ex. 성취도 낮은 아동, “우리 온종일 공부만 해요. 휴식/점심 시간 더 길어야 해요”.
  • 좌절 경험, 발달 초기 보다 만족스러웠던 시절 행동 양식 나타내는 행동 기제.
  • ex. 학교 입학 아이, 낯선 환경 두려움→울거나 손가락 빠는 행동.

(8) 동일시 (identification)

  • 사람들 동일시/모방 역할 모델 만듦.

(9) 부정 (denial)

  • 현실 불쾌 측면 직면 거부/불안 유발 자극 지각 거부.

(10) 환상 (fantasy)

  • 상상 통해 욕구/좌절된 욕망 만족 찾음.

(11) 철회 (withdrawal)

  • 수동적/상처받는 것 회피 학습, 자아 개입 감소.

(12) 주지화 (intellectualization)

  • 정상 애정/감정 불쾌/유해 상황 분리 행동.

(13) 원상 복구 (undoing)

  • 비도덕적/나쁜 행동, 또는 그러한 행동 욕구, 속죄 형태 나타남.

(14) 행동화 (acting out)

  • 금지된 욕구 발생 불안, 표현, 감소 의미.

(15) 보상 (compensation)

  • 바람직한 특성 강조, 약점 감추거나, 다른 삶 영역 과잉 만족, 삶 좌절 감소 의미.
5) 성격 발달 단계

Freud는 성격 발달 단계를 심리성적 발달 단계 (psychosexual stages)로 구분하고, 각 단계별 특징과 과제를 제시했습니다. 각 단계에서 리비도(libido)가 집중되는 신체 부위(성감대)가 달라지며, 이 부위에서의 욕구 충족 경험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단계 연령 (대략) 성감대 주요 특징 및 발달 과제 고착 시 성격 특성 (예시)
구강기 (Oral Stage) 0-1.5세 입, 입술, 혀 빨기, 삼키기, 깨물기 등 구강 활동을 통한 만족 추구. 이유(weaning) 과정이 중요. 구강 수동적 성격 (의존성, 과도한 낙관주의), 구강 공격적 성격 (빈정거림, 논쟁적)
항문기 (Anal Stage) 1.5-3세 항문 배변 훈련(toilet training)을 통한 배설/보유의 쾌감. 부모의 통제에 대한 반응이 중요. 항문 보유적 성격 (고집, 인색, 완벽주의, 청결), 항문 배출적 성격 (잔인, 파괴적, 난폭, 불결)
남근기 (Phallic Stage) 3-6세 성기 성기에 대한 관심 증가. 외디푸스/엘렉트라 콤플렉스 경험. 동성 부모와의 동일시를 통해 성 역할 학습. 경솔, 과장, 야심적 (남성). 난잡, 유혹적, 경박 (여성). 성적 무기력/불감증 (신경증).
잠복기 (Latency Stage) 6-11세 (특정 부위 없음) 성적/공격적 충동 억압. 지적 활동, 운동, 또래 관계 등에 에너지 집중. – (고착 개념 없음)
생식기 (Genital Stage) 청소년기 이후 성기 이성과의 성적 관계 추구. 부모로부터의 독립. 성숙하고 책임감 있는 성인으로 발달. – (성숙한 성격)
(1) 구강기 (Oral Stage, 출생~1.5세)
  • 구강(입, 입술, 혀)이 성격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갖는 시기.
  • 주요 과제는 이유 과정과 음식 씹기 학습.
  • 입은 성감대로 특징, 아동, 빨기/먹기/깨물기 쾌락.
  • 영아 먹는 활동, 깨무는 활동, 이후 발달 많은 성격 특성 원형.
  • 성인 행동: 담배 피우기, 먹기, 마시기, 교활성, 죄책감/의존성, 빈정거림 등 성격 특성, 구강기 시작.
(2) 항문기 (Anal Stage, 1.5~3세)
  • 대변 배출/보유, 만족 원천.
  • 항문 부위 피부막, 만족 주요 원천.
  • 배변 훈련 시작, 원욕 욕구(즉각적 대변, 기쁨)-부모 부과 사회적 제지(배출 욕구) 간 조절 학습.
  • 주요 장애물, 고유 기능(배변 훈련) 조절.
  • 배변 훈련, 아동 즉각적 만족 지연 방법 학습.
  • 부모, 과정 촉진/방해 방식, 성인 성격 특성 발현.
  • 완고, 인색, 청결/관대, 불결, 항문기 관련 성인 특성.
  • 거칠/강압적, 고집 셈, 인색, 지나친 청결/불결 경향 성격 특성.
  • 단계 고착, 잔인, 파괴적, 난폭, 적개심 나타내는 항문 공격적 성격.
  • 적절 배변 훈련, 창의성/생산성 기초.
(3) 남근기 (Phallic Stage, 3-6세)
  • 자신 성기 만지는 것, 쾌감 주요 원천.
  • 외디푸스 콤플렉스 발현 (여아, 엘렉트라 콤플렉스).
  • 성적/공격적 감정/환상, 성기 관련.
  • 남아, 어머니 성적 욕망, 아버지 공격적 감정.
  • 여아, 어머니 적대감 발달, 아버지 성적 매력.
  • 동성/이성 사람 태도 구체화 시작.
  • 발달 과제: ① 남아 → 외디푸스 콤플렉스 해결, ② 여아 → 일렉트라 콤플렉스 해결.
  • 외디푸스 콤플렉스: 어머니, 자신 성적 만족 대상, 아버지, 성적 만족감 방해 경쟁자 생각 → 아버지, 자신 그냥 X 두려움 → 자신 성기 절단, 거세 불안 → 자신 초자아, 어머니 성적 관계 욕구 억압 → 오히려 아버지 동일시 시작, 외디푸스 콤플렉스 해결.
  • 일렉트라 콤플렉스: 아버지 애정 대상. 남아 같은 돌출 음경 X, 실망 → 남근 선망. 자신 남근, 어머니 거세, 책임 어머니, 어머니 대한 심적 부착 약화 → 갖기 원하는 성기 소유 아버지 사랑, 어머니 애정 경쟁자 생각 → 어머니 동일시 행동 증가 → 여성 성 역할, 어머니 통해 학습.
  • 남근기 고착 성인 남자, 대부분 경솔, 과장, 야심적 성격 특성, 항상 자신 강함/남자다움.
  • 남근기 고착 여성, 성관계 순진/결백, 난잡, 유혹적, 경박 기질.
  • 시기 미해결 문제, 성적 무기력(남자)/불감증(여성) 등 신경증 원인.
(4) 잠복기 (Latency stage, 6-11세)
  • 성적/공격적 충동 비교적 안정 (Freud, 이 연령대 아동 집단 대상 연구 X).
  • 리비도, 억압 or 승화, 지적 관심, 운동, 친구 간 우정 등 나타남.
  • 성적 본능 수면 상태.
(5) 생식기 (genital stage, 청년기)
  • 성적/공격적 충동 재발현.
  • 시기 주요 과제, 이성 관계 발달.
  • 생식기 동안 활동 초점, 다른 사람 진정한 관계 발달 이동.
  • 청년기 목표, 쾌락 추구, 고통 회피, 자애적 아동 -> 현실 지향적/사회화된 성인 이동.
  • 주요 발달 과제: 부모로부터 자유.
6) 상담의 목적과 목표
  • 잘 적응하는 개인 = 진정 사랑, 일 가능 사람.
  • 적응 방해 요소 = 무의식 속 동기 작용 억압된 충동.
  • 억압된 충동 = 과거 자아 적절 중재 X 원욕 충동.
  • 정신분석 과정 ⇒ 안전 분위기 속, 과거 내담자 자신 효과적 대처 X 장면 직면, 관련 억압 감정/충동 자유 표현, 문제되는 무의식 내용 의식 수준.
  • 무의식 내용 의식화 과정, 현재 행동 적절성/부적절성 탐색, 자신 문제 행동 원인 통찰, 새로운 행동.
  • 정신분석 목표 = 내담자 자신 행동 동기 각성/통찰, 의식 수준 행동 도움.
  • 정신분석 궁극적 목적 = 무의식 근거 내담자 문제 행동 각성/통찰, 건설적 성격 변화, 진정 사랑, 일, 잘 적응 개인 성장 도움.
7) 상담의 과정과 기술
(1) 상담의 과정 : Arlow(1979)
  1. ① 초기 시작 단계
    • 최초 면담 장면.
    • 내담자 문제 파악, 근거 정신분석 필요 결정.
    • 면 대 면 면접 과정 후 안락 의자 이동, 정신분석 과정 시작 (일 대 일 관계).
    • 보통 3개월~6개월 정도.
  2. ② 전이의 발달 단계
    • 분석 과정 → 내담자-분석가 친숙 관계 형성 → 분석 과정 발전 → 내담자 자신 무의식적 갈등 문제 표출 → 갈등 관계 중요 인물 대한 내담자 정서적 반응 분석가 향해 나타남 (전이).
    • 전이 현상 과정, 잊어버렸던 어린 시절 기억/억압된 무의식적 환상, 현대판, 무의식적 재연.
    • 현실-환상, 과거-현재 분별 도움.
    • 어린 시절 무의식적 환상적 소원 욕구/충동 현실적 이해.
    • 잘못 지각, 잘못 해석, 과거 매임, 현재 상황 잘못 반응 현실적 이해 도움.
    • 자신 충동/불안 비현실적 깨달음, 성숙/현실적 수준 적절 결정.
    • 내담자 겪는 갈등 성질 통찰.
    • 변화 과정 역시 무의식적 과정.

    cf. 역전이: 분석가 편 발현 전이, 내담자 대한 분석가 싫은 감정/지나친 애착/관여, 정신분석 과정 방해.

  3. ③ 철저한 지속적인 활동
    • 전이 분석 단계 동시 발생, 연속.
    • 전이 분석 따른 내담자 문제 통찰, 철저한 지속적 활동 과정 통해 계속 심화/공고화.
    • 반복, 정교화, 확충 활동 이루어지는 과정.
    • 전이 분석-어린 시절 중요 경험 기억 상실 극복 사이 촉매 역할.
    • 자신 억압 감정/충동 이해, 이해 느낌, 결과 현실 부정 < 직면, 보다 성숙/효과적 방법 반응 학습.
    • 정서적 재교육 불림.
  4. ④ 전이의 해결 단계
    • 분석 종결 단계.
    • 내담자/분석가 설정 분석 주요 목표 성취, 전이 이해, 모두 만족스러운 상태.
    • 분석가 대한 내담자 무의식적/신경증적 애착 해결.
    • 내담자 상담 청 원인 증상 놀랍게 약화 현상.
    • 억압 기억 발현, 상담 초기 해석/재구성 확고, 정교화.
    • 내담자/분석가 모두 더 이상 분석 필요성 X.
(2) 상담의 기술
  1. ① 자유 연상
      • 내담자, 마음속 떠오르는 것 무엇이든 이야기하는 방법.
      • 아무 제한 없이 의식 떠오르는 것 모든 것 이야기.

    cf. Breuer 정화법: 문제 행동 증상 시초적 발달 관련 국한.

    • 내담자 두서없는 이야기, 모든 이야기 서로 역동적 관련성 전제.
    • 무수한 우회/장벽, 마음 미로 통한 연상 연쇄, 내담자 개인 마음 역사/현재 조직 파악 전제.
    • 분석가, 관련성/의미 해석, 내담자 자신 무의식적 동기 이해/통찰.
  2. ② 해석
    • 자유 연상, 꿈, 저항, 전이 분석 시 사용 기본적 절차.
    • 꿈/자유 연상 내용, 저항, 상담 관계 자체 의미 지적, 설명, 가르침.
    • 자아, 무의식적 재료 의식화 촉진, 내담자 무의식적 재료 통찰.
    • 유의점 ⇒ 내담자 저항/방어적 행동 이면 숨겨진 원인 해석 전, 내담자 방어/저항 행동 자체 지적, 설명.
    • 분석가, 내담자 표현 감정 대상적 이면 이해.
  3. ③ 저항의 분석과 해석
    • 정신분석 초기 단계, 내담자 억압 감정/생각 회상 X, 표현 주저 경향.
    • 자신 부정적 감정/고통 해결, 무의식적 저항 현상.
    • 자신 억압 충동/감정 각성, 불안, 불안 자아 방어 경향 발현.
    • 저항 분석 목적: 내담자 저항 처리, 저항 이유 각성 도움.
    • 저항 해석 원리: 분석가 내담자 주의 집중, 저항 중 가장 분명한 저항 현상 해석.
  4. ④ 전이의 분석과 해석
    • 전이 신경증 발달, 전이 발달 장려.
  5. ⑤ 꿈의 분석과 해석
    • 꿈, 무의식 세계 통하는 길.
    • 꿈 내용, 억압된 소원 구성.
    • 유아기 경험 반영, 일차 과정 의한 상징적 소원 성취 이해/해석.
    • 꿈 잠재 의미 파악, 꿈 나타난 내용 관련 자유 연상, 내담자 요청.

나. Rogers의 인간 중심 상담

인간 중심적 상담 이론은 1940년대 Carl Rogers에 의해 창시된 상담 이론입니다. 이 이론의 애초 명칭은 ‘비지시적 상담'(1940~1950)이었는데, 이론이 발전하는 과정에서 1970년대까지는 ‘내담자 중심적 상담(Client-Centered Therapy)’으로 불렸고, 그 후에는 ‘인간 중심적 상담'(Person-centered Therapy, 1975~)으로 명칭이 바뀌었습니다. 인간 중심적 상담 이론은 구체적인 문제 해결 기법보다는 내담자에 대한 상담자의 태도를 더 중요시합니다.

1. 인간 중심적 상담의 인간관

  • 자기를 실현할 수 있는 기본적 동기와 능력을 이미 가지고 있는 것으로 가정 (살아가는 과정에서 그러한 능력이 가려졌다고 봄).
  • 현재를 살고 미래를 추구하는 존재.
  • 자신의 가능성과 잠재력을 발견하고 실현할 수 있는 존재.
  • 긍정적, 희망적으로 봄.
  • 인간은 누구나 자신의 자유로운 선택에 따라 행복하고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긍정적인 입장.
  • 인간은 선천적으로 선하고 진실되며, 이성적인 존재.

2. 인간 중심적 상담의 과정과 방법

1) 상담 목표
  • 내담자가 자기를 실현하도록 돕는 데 있음.
  • 내담자 곧 인간 자체에 초점을 둠.
  • 내담자가 현재 직면하고 있는 문제들과 앞으로의 문제들을 극복할 수 있도록 성장 과정을 촉진.
  • 성장을 촉진하는 적절한 양육 환경을 만들어 주기만 하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발휘된다는 내담자에 대한 신뢰와 믿음이 있음.
  • 내담자들이 자신의 경험을 부정하거나 왜곡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수용할 수 있게 되면 심리적 문제는 저절로 해결될 수 있음.
2)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 상담자가 어떤 태도로 내담자와 관계를 맺느냐 하는 것이 내담자가 문제를 해결하고 심리적 성장을 이루는 데 핵심적.
  • 긍정적 성격 변화를 이루기 위해 필요한 상담자의 세 가지 태도

(1) 진솔성 (or 일치성, congruence)

  • 상담자가 내담자를 대할 때 가식이나 왜곡, 겉치레가 없는 것.
  • 진실하고 솔직한 것.
  • 진솔성을 통해 자기와 경험 간의 불일치를 줄여나가는 데 밑거름이 됨.
  • 진솔성의 2가지 측면:
    • ① 내담자를 대하면서 드는 생각이나 느낌에 솔직하고 충실 (있는 그대로 느끼고 경험).
    • ②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느낀 것을 표현 (긍정적인 내용과 부정적인 내용 진솔하게 그대로 표현).
  • 상담자가 내담자를 진실하고 솔직하게 대하는 태도를 일관되게 유지하면 내담자도 그것을 거울삼아 자신의 경험에 대해 솔직하게 접촉해 나갈 수 있게 됨.
  • 상담자의 진솔성은 내담자의 진솔성을 촉진.
  • 상담자의 진솔성은 어느 정도 상담자의 인격적 성숙을 전제로 함.
  • 미성숙한 상담자의 부정적 내용을 표현 (부정적 진솔성)은 내담자에게 상처.

(2)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 (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 긍정적 존중이란 내담자를 한 인간으로서 긍정적인 존재로 대하는 것.
  • 내담자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존중하는 태도.
  • 내담자는 가치 있고 존중받을 만하다는 태도를 일관되게 유지.
  • 내담자의 행동, 감정, 생각 자체가 아니라 그런 행동, 감정, 생각을 하는 내담자의 인간으로서의 가치 인정.
  • 내담자를 끊임없는 관심, 조건을 달지 않는 긍정적 수용으로 대하는 것.
  • 상담자가 이런 태도를 일관되게 유지할 때 내담자는 자신을 있는 그대로 느끼고 표현할 수 있는 자유로운 존재가 됨.
  • 무조건적 긍정적 관심으로 내담자는 심리적 문제 해결은 물론 숨겨진 가능성, 잠재력이 발현되어 참된 성장과 성숙.

(3) 공감적 이해 (Empathy)

  • 공감적 이해는 상담자가 내담자의 감정과 경험을 민감하고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
  • 현재 내담자의 내면적 감정을 마치 상담자 자신의 감정인 것처럼 느낌.
  • 공감적 이해로 내담자는 자신에 대한 진정한 경험과 접촉을 확대하게 됨.
  • 상담자는 자신의 처지와 입장을 그대로 유지한 채 내담자의 입장이 되어 거기에서 보고 느낀 것의 의미를 내담자에게 전달해 주어야 함.
  •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의 주관적 감정 세계를 경험하되 자신의 사사로운 의견이나 감정을 덧붙이지 않으며, 내담자의 감정에 동참하되 거기에 함몰되지 않는 것.
  • 공감은 내담자와 별개의 존재인 상담자가 자신의 본연의 정체는 그대로 유지한 채 마치 자신이 내담자인 것처럼 내담자의 내면 경험을 대리 체험하는 것.
  • 공감적 이해를 통해 내담자는 자유로운 자기 탐색과 이해, 그리고 자기 수용과 성장의 길로 나아갈 수 있게 됨.
  • 공감적 이해의 치료적 효과:
    • ①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의 소외와 외로움을 해소.
    • ②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에게 자신의 있는 모습 그대로가 가치 있다는 느낌을 가지도록 함.
    • ③ 공감적 이해는 수용적이고 비판단적이기 때문에 내담자 스스로 자신에 대해 부여해 왔던 여러 가지 제한과 한계들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기회 제공.
    • ④ 공감적 이해를 통해 내담자는 개성과 정체감을 갖게 됨.
    • ⑤ 공감적 이해는 내담자 스스로에게 알려져 있지 않았던 새로운 자료를 드러내 줌.

다. 인지행동적 상담 이론

1. 인지 행동적 상담 이론의 인간관

  • 인지 행동적 접근에서는 인간의 인지, 즉 사고 또는 생각이 가장 우선적.
  • 감정이나 행동은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영향을 받음 (인지의 우선성 or 인지의 결정론).
  •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감정이나 행동이 달라질 수 있음.
  • 사람의 감정이나 행동은 인지에서 나온다는 입장.
  • 사람들은 특정한 생각을 하기 때문에 특정한 감정과 행동이 나오게 됨.
  • 부적응을 겪는 사람들을 변화시키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은 그 사람의 생각을 변화시키는 것.
  • 인간의 주된 특성을 인지에서 찾으려 하며, 인지를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모든 것을 변화시킬 수 있다고 믿음.

2. A. Ellis의 합리적 정서치료의 주요 개념

  • 합리적 정서치료는 인지 행동적 상담 이론들 중 가장 먼저 출현, 가장 널리 알려짐.

1) 비합리적 신념과 심리적 문제

    • 정서적 문제를 겪는 이유는 구체적인 사건들 때문이 아니라 그 사건을 지각하고 받아들이는 방식이 잘못되었기 때문.
    • 어떤 사건을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는 기존의 생각들에 비추어 비합리적으로 해석하기 때문에 그 결과로 정서적 문제 경험.
    • 사람들이 겪는 심리적 문제의 기저에는 합리적이지 못한 생각들이 깔려 있음.

예시: 딱지 맞은 여자

2) 합리적인 신념과 비합리적인 신념의 구분

  • (1) 융통성: ‘모든’, ‘항상’, ‘반드시’, ‘꼭’, ‘결코’, 당연히’ 등과 같은 생각들은 융통성이 없으므로 비합리적.

    예시: “나는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인정을 받아야만 한다”

  • (2) 현실성: 사람들이 가진 어떤 생각들은 현실적으로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

    예시: “인간적으로 가치 있는 사람이 되려면 매사에 유능하고 완벽해야 한다”

  • (3) 기능적 유용성: 사람들이 가진 생각이 현실을 행복하게 사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와 관련됨. 한 개인이 가진 생각이 그의 삶을 유쾌한 것으로 만드는 데 도움이 된다면 합리적.

3) 비합리적인 신념들의 예

  1. ① 우리는 주위의 모든 사람들에게 항상 사랑과 인정을 받아야만 한다.
  2. ② 우리는 모든 면에서 반드시 유능하고 성공해야만 한다.
  3. ③ 나쁜 사람들은 반드시 준엄한 벌을 받아야만 한다.
  4. ④ 일이 내가 바라는 대로 되지 않으면 파멸뿐이다.
  5. ⑤ 사람들의 행복과 불행은 외부 환경에 의해 결정되며, 사람들은 그것을 통제할 수 없다.
  6. ⑥ 잘 살기 위해서는 의존할 만한 강한 누군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7. ⑦ 현재의 행동과 운명은 과거에 의해 결정되며, 우리는 과거에서 벗어날 수 없다.

3. 상담의 방법과 진행 과정

1) ABCDE 모형
  • (A) 선행 사건 (Antecedents): 내담자에게 노출되었던 문제 장면이나 선행 사건.

    예시: 연속하여 박사 시험에 두 번 떨어졌다.

  • (B) 신념 (Beliefs): 문제 장면에 대한 내담자의 신념.

    예시: “연속적으로 시험에 떨어지다니 나는 얼마나 무가치한 인간인가? 나는 견딜 수 없다.”

  • (C) 결과 (Consequences): 선행 사건 A 때문에 생겨났다고 내담자가 보고하는 정서적 또는 행동적 결과.

    예시: 극심한 우울증, 과도한 열등감 등

  • (D) 논박 (Disputes):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상담자의 적극적인 논박.

    예시: “내가 연속해서 시험에 떨어졌다고 해서 반드시 무가치한 인간인가?”, “계속하여 시험에 떨어진 것은 실망스럽고 섭섭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무가치한 인간이고 죽어야만 한다는 것은 아니다. 나는 이 상황을 그런 대로 견디고 극복해 낼 수 있다.”

  • (E) 결과 (Effects): 비합리적 신념을 논박 또는 직면한 결과.

    예시: 보다 적극적으로 이 상황을 타개하는 생각으로 돌릴 수 있다.

2) 상담 진행 절차
  1. (1) 합리적 정서치료의 기본 철학 및 논리를 내담자가 믿도록 설명하고 설득.
  2. (2) 상담 면접 과정에서 내담자의 자기 보고 및 상담자의 관찰을 통해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을 발견하고 규명.
  3. (3) 내담자의 비합리적 신념에 대해 상담자가 직접적으로 논박하고 합리적 신념의 예를 제시하거나 시범을 보임.
  4. (4) 비합리적 신념을 합리적 신념으로 대치하기 위한 인지적 연습을 반복.
  5. (5) 합리적 행동 반응을 개발, 촉진하기 위한 행동 연습을 시행.

라. 현실치료

1. 현실치료의 인간관

  • 인간은 궁극적으로 자기 결정을 하고 자기 삶에 책임을 갖고 있다고 가정.
  • 인간은 자유롭고 자신의 목표를 스스로 선택하고자 하는 욕구를 지닌다고 가정.

2. 현실치료의 상담의 과정

1) 상담 목표
  • 개인을 정서적으로 강하고 합리적이 되도록 돕는 것.
  • 사람들을 돕기 위해 그들이 자신의 삶에서 가치 있다고 생각하는 행동을 하도록 힘을 길러주고 동시에 그들이 필요로 하는 인간적인 따뜻함을 주는 것.
  • 내담자가 원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주변 세상을 효율적으로 다루도록 가르치는 데 관심을 갖음.
2) 상담자의 기능과 역할
  • 내담자에게 관여하고 상담 과정의 기초가 되는 치료 관계를 발달.
  • 통제 이론을 가르치고, 행동 선택을 제공하고, 상담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함으로써 교사의 역할을 함.
3) 상담자와 내담자와의 관계
  • 따뜻하고 이해적이며 지지적인 관계를 강조.
  • 상담 초기에 내담자는 상담자에게 의존하지만 상담 과정이 진행됨에 따라 내담자는 세상에 대처할 수 있는 심리적인 힘과 행동을 발달시킬 수 있게 됨.

3. 상담의 기법 및 절차 : WDEP

  • Wants (욕구, 지각의 탐색): 내담자에게 그들의 ‘바램’에 관련된 질문들을 던지게 됨 (예: 당신은 지금 당신이 어떤 사람이 되어 있었으면 하고 생각합니까?).
  • Direction and Doing (현재 행동): 현재 행동에 관심을 두고 과거 사건은 내담자가 현재 행동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경우에만 관심 (예: 당신은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
  • Evaluation (평가): 내담자로 하여금 자신의 행동을 평가하도록 도움 (예: 당신의 현재 행동이 당신이 현재 원하는 것을 얻을 수 있도록 충분한 기회를 만들어 주고 있는가?).
  • Planning and Commitment (계획과 실천): 내담자가 무엇을 변화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면 다른 가능한 행동을 탐색하고 활동 계획을 수립. 상담자와 내담자의 공동 노력으로 계획이 수립되면 계획이 수행되도록 실천. 내담자가 자신의 요구와 욕구를 충족시킬 구체적 방법을 찾도록 도움.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하는 과정을 통해서 내담자들은 자신의 삶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게 됨. 계획이 실천되지 않으면 상담자와 내담자는 함께 다른 것을 고안.

훌륭한 계획(Wubbolding): SAMIC3

  • Simple: 단순
  • Attainable: 실현 가능
  • Measurable: 측정 가능
  • Immediate: 즉각적
  • Involved: 관계있는
  • Controlled: 통제될 수 있는
  • Committed to: 실천될 수 있는
  • Continuously done: 계속 행해질 수 있는

참고자료

  • 기독교 상담과 의미요법 (2002, 정태기 역), 두란노
  • 청소년개인상담 (1996), 이혜성 외, 청소년대화의광장
  • 상담심리학 연구 (2002), 김계현, 학지사
  • 상담심리학의 기초 (2005), 이장호 외, 학지사
  • 상담의 이론과 실제 (2003), 이형득, 형설출판사
  • Counseling Children (2000), Charles L. Thompson, Linda B. Rudolph, Brooks/Cole
  • Theory and Practic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001), Gerald Corey, Brooks/Cole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