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개론 – 제10장: 개인차와 심리검사 (지능검사와 성격검사)
학습 목표
- 개인차 측정 위한 심리 검사 제작 원리 학습.
- 지능 의미, 지능 검사 종류 학습.
- 성격 검사 종류, 대표적 성격 검사 학습.
학습 목차
- 심리 검사 제작 원리
- 1) 표준화와 규준
- 2)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반분 신뢰도, 동형 검사 신뢰도, 내적 일치도)
- 3) 타당도 (내용 타당도, 준거 관련 타당도, 구성 타당도)
- 심리 검사 유형
- 1) 지능 검사 (K-WAIS)와 EQ
- 2) 성격 검사 (MMPI, MBTI / Rorschach, TAT)
- 심리 검사 제작 실제
성격/능력, 개인 간 차이(개인차) 연구, 심리학 기본적 주제 (심리학 역사, 지능 검사 개발/활용, 심리학 대중화 크게 기여).
(예: 학력고사, 수능 시험, TOEFL, TOEIC, JPT 등 성취 검사, 신입 사원 선발 위한 적성 검사/성격 검사, 학업 능력 측정 지능 검사 등, 모두 표준화된 심리 검사 한 유형).
1. 심리 검사 제작 원리
심리 검사, 인간 행동 표본(예: 지능, 성격 등)에 대한 표준화된 측정 도구.
1.1 표준화와 규준
- 1) 표준화(standardization) 의미: 검사 실시, 점수화(채점), 동일 절차 사용 의미 (모든 피검사자, 동일 검사 지시, 동일 질문, 동일 시간 등 부여. 따라서, 이런 동일 절차, 점수 획득. 개인 간 특성 비교 가능).
- 2) 규준(norm) 의미: 검사 표준화 위해 규준(norm) 수립. 규준, 모집단 대표 선정된 사람들, 즉 표준화 집단(standardization group) 검사 실시, 수립. 규준 통해 심리 검사 특정 개인 점수, 타인 점수 비교, 위치 확인 (상대적 비교 통한 점수 의미 해석).
예시: 백분위 점수 – 50점 만점 공격성 검사, 100명에게 실시 가정. A 점수, 50점 만점 중 35점. A 35점 아래, 100명 중 75명 존재. 이 경우, A 백분위 점수, 75점(percentile score).
1.2 신뢰도
모든 측정 도구, 반드시 일관성(consistency) 필요. 반복 측정, 항상 동일 결과 의미. 이런 특성, 신뢰도(reliability) (예: 오를 때마다 다른 결과 체중계).
- 1) 검사-재검사 신뢰도(test-retest reliability): 동일 검사, 일정 시간 간격 두고 반복적 측정, 두 검사 점수 간 상관 구하여 신뢰도 사용 (상관 계수 1.00 근접, 신뢰도 높은 심리 검사).
상관(correlation) 및 상관계수(r, correlation coefficient)의 의미
- 상관: 두 변인(변수) 간의 관계의 정도를 나타내는 통계적 개념입니다.
- 상관계수(r): -1.00에서 +1.00 사이의 값을 가지며, 두 변인 간의 관계의 강도와 방향을 나타냅니다.
- +1.00: 완전한 정적 상관 (한 변인이 증가하면 다른 변인도 증가)
- -1.00: 완전한 부적 상관 (한 변인이 증가하면 다른 변인은 감소)
- 0: 상관 없음 (두 변인 간에 선형적 관계가 없음)
- 예시: 키와 몸무게는 일반적으로 양의 상관관계를 가집니다. (키가 클수록 몸무게도 많이 나가는 경향)
- 2) 반분 신뢰도(split-half reliability): 하나의 검사, 측정 내용 유사 문항 동일 수로 나누어 측정, 상관 구하여 신뢰도 사용. (예: 행복감 측정 20개 문항 심리 검사 가정. 20개 문항, 10개씩 2개 하위 검사 분할, 2개 하위 검사 간 점수 상관 구함) (1.00 근접, 신뢰도 높은 검사).
- 3) 동형 검사 신뢰도(equivalent form reliability): 측정(검사) 내용/난이도 유사 2개 동형 검사(A형, B형) 제작, 측정, 두 검사 점수 간 상관 통해 신뢰도 사용. (예: 행복감 측정 20개 문항 심리 검사, 유사 20개 문항 행복감 측정 심리 검사 제작, 2개 검사 모두 실시, 검사 간 상관 구함) (1.00 근접, 신뢰도 높은 검사).
- 4) 내적 합치도(internal consistency): 한 검사 내 모든 문항 간 상관 계수 근거, 신뢰도 (크론바하 알파: Cronbach’ alpha). (예: 행복감 측정 20개 문항 검사, 1번 문항 ~ 20번 문항, 두 문항 간 모든 상관 계수 조합, 평균. 총 190개(20*19/2*1) 문항 간 상관 계수, 이 상관 계수 평균, 내적 합치도 계수).
1.3 타당도 (내용 타당도, 준거 관련 타당도, 구성 타당도)
검사, 측정하려는 것 제대로 측정, 즉 특정 검사, 검사 목적 잘 반영 정도, 타당도(validity). (예: 국어 시험, 국어 문제 구성).
- 1) 내용 타당도(content validity): 검사 문항/내용, 측정 영역 대표 정도 (예: 국어 시험, 시험 범위 외 내용, 다른 학년 교과서 문제 출제, 이 시험 내용 타당도 낮음).
- 2) 준거 관련 타당도(criterion-related validity): 개인 행동 특정 측면 예언 위해 사용되는 타당도 방식 (인사 선발 주로 사용). (예: “상담가 적성 검사” 제작, 선발, 1년 뒤 실제 “상담 수행 능력 검사” 실시, 두 검사 점수 간 비교. 상관 높을 경우, “상담가 적성 검사” 준거 관련 타당도 높음) (1.00 근접, 높은 타당도).
- 3) 구성 타당도(construct validity): 측정 개념(구성 개념), 하위 개념(요인)으로 잘 구성 확인 타당도.
(예: “상담가 적성 검사” 제작, 첫째, “상담 심리학 교수/상담 전문가” “성공적 상담가 필요 자질” 면접, 특성 정리 (예: 공감 이해 능력, 내담자 책임감, 비지시적 태도, 자기 개방성 등). 둘째, 각 4개 특성(하위 개념, 하위 요인) 측정 문항 제작. “내담자 책임감” 측정, “나, 일 맡겨지면 그만둘 때까지 책임지는 편”, “비지시적 태도” 측정, “나, 상담 시 지시/요구 태도 도움 안 된다고 생각”, “공감 이해 능력” 측정, “대화 시, 상대방 처지, 감정 이해 노력”, “자기 개방성” 측정, “나, 합리화 위해 늘 종교/이론 이용 편(역산)” 등 문항 제작. 셋째, 제작된 “상담가 적성 검사”, 다른 공감 능력 검사, 책임감 검사, 개방성 검사, 비지시적 태도 검사 등 실시, 상관 계수. 상관 계수 1.00 근접, 구성 타당도 높음).
2. 심리 검사 유형
심리 검사, 지능 검사, 성격 검사, 성취 검사, 적성 검사 등 유형 존재, 여기, 가장 대표적 유형, 지능 검사, 성격 검사.
2.1 지능 검사 (K-WAIS)와 EQ
- 1) 지능(intelligence), 지능 지수(Intelligence Quotient)
- 지능: “개인 지적 능력 포괄적 지칭 용어”, “어떤 목적 향해 행동, 합리적 사고, 환경 효과적 처리, 개인 총체적/전체적 능력(웩슬러)” – 대체로 만 7-8세 정도, 지능 안정. 지능 통해 성인기 학업/직업적 성공 많은 영향.
- 지능 지수(IQ) = 정신 연령 / 생활 연령 * 100.
- 2) K-WAIS(웩슬러 성인 지능 검사 – 한국판)
- (1) 언어성 검사(6개 하위 검사), 동작성 검사(5개 하위 검사) 구성.
- (2) IQ 범위, 50 ~ 150 범위. 언어성 지능 지수, 동작성 지능 지수, 전체 지능 지수 등 3개 지능 지수.
- (3) 규준(norm) 따른 지능 지수 의미 (표준화된 집단 근거, 평균, 표준 편차, 평균 100, 표준 편차 20, 지능 지수 점수).
(예: 상/하위 1 표준 편차(80-120), 상/하위 2 표준 편차(60-140) 등).
지능 지수 (IQ) 분류 백분위 130 이상 최우수 98% 이상 120-129 우수 91% – 97% 110-119 평균 상 75% – 90% 90-109 평균 25% – 74% 80-89 평균 하 9% – 24% 70-79 경계선 3% – 8% 69 이하 정신 지체 2% 이하
- 3) 지능 지수 의미, 한계
- (1) 지능 검사 측정 시, 불안 정도, 검사 점수 영향 가능.
- (2) 지능 검사, 학업/직업적 성공 예언, 동기, 적성, 더 큰 영향 가능.
- (3) 통계상 문제 (낮은 변산, 예언력 감소) (예: 유사 직업 집단(판사) 경우, 지능 서로 비슷, 집중. 지능 따라 직업적 성공 예언 어려움).
- (4) 지능, 기초 학습 능력 측정, 응용/실제 사회 능력 예언 어려움.
- (5) 결정성 지능, 유연성 지능, 연령 문제.
- (6) 지능, 창의성 관계 – 지능 일정 수준 이상, 지능, 창의성 서로 독립 관계 (지능, 수렴적 사고 과정, 창의성, 확산적 사고, 서로 측정 특성 상이).
- 4) 지능 지수, 유전/환경 관계상호 작용론 따른 “반응 범위” 관점 – 지능 경우, 유전, 지능 형성 가능 범위 결정, 환경 조건, 구체적 지능 수준 결정 (환경 조건, 가능 아동 스스로 할 수 있게끔 흥미/호기심 유도 가장 바람직. 다양/많고/고가 학습 자료, 과외 제공 등 물리적 환경 조건 < 스스로 관심 갖게끔 심리적 환경 조건 중요. 이로 인해, 경제적 어려움, 지능 우수 경우 많음 – 지능 발달에 대한 대부분 발달 심리학자 견해).
cf. 한국 문화처럼 “정” 같은 감정적 측면, 사회적 성공, 대인 관계적 측면 강조 문화, 지능 못지않게 감성 지능(EQ) 중요.
* 골맨(Goleman) EQ 개념
- – 정의: 사람 감정 이해 능력, 삶 풍요롭게 하는 방향, 감정 조절/활용/통제 능력.
- – 속성:
- (1) 자기 정서 이해.
- (2) 정서 조절.
- (3) 자기 동기 부여.
- (4) 타인 정서 인식(공감 능력).
- (5) 타인과 원만한 관계 유지.
(EQ 경우, 유전적 영향 존재, 지능처럼 환경 조건 중요. 특히 부모 스스로 자녀 기쁨(정말 좋겠구나), 자녀 슬픔/분노(정말 슬프겠구나, 정말 화나고 힘들겠구나) 공감 몸소 표현/행동(일종 지행 합일 통한 동일시/모방), 동시에 부모 자신 감정 “엄마 아파”, “너 잘 되어 좋다”, “네가 힘들어하는데 도와주지 못해 엄마 마음 무겁구나” 식 공감적 표현 사용 가장 바람직 (대부분 발달 심리학자 견해).
* 우리, IQ/EQ, 자녀 학업/직업적 성공 위해, 물질적 과소비 불사 경향. 이런 현상, 다음 2가지 점 위험:
- (1) 스스로 동기화 X. 즉, 부모 모든 물질적 조건 제공, 자신 원해서 < 부모 기대 부응 생각. 외향적, 부모 뜻 따르나, 무의식적 “하고 싶지 않다” 마음 형성.
- (2) 아동, 부모 생각보다 지혜로움. 아무리 좋은 조건 제공, 부모 진정 자신 사랑 여부, 본능적 신속 파악. 연령 어릴수록, 본능, 행동/판단 중요 영향. 고린도 후서 구절처럼 “사랑 없다면…아무 것 아니다”.
2.2 성격 검사
인간 다양한 성격 특성 측정 위해 다양한 성격 검사 제작. 대표적 성격 검사, 자기 보고식 검사(MMPI, MBTI), 투사법 검사(Rorschach 검사, TAT 검사) 2종류.
- 1) 자기 보고식 검사
- (1) MMPI(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 – 정신 병리적 특성, 성격 장애 발견: 총 566개 문항 구성, 4개 타당도 척도, 10개 임상 척도. 4개 타당도 척도, 거짓 반응 L 척도, 남에게 자신 모습 꾸미려는 속임 반응 F 척도, 피검자 반응 타당성 K 척도, 무반응 문항 개수 ? 척도 등. 임상 척도, 특히 10개 척도. 1번 척도 Hs(심기증 척도) ~ Si(사회적 내향성) 척도. 검사 결과 분석, 10개 척도 프로파일 분석 의거.
예시: 나는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1) 예, (2) 아니오, (3) 모르겠다
- (2) MBTI(마이어와 브릭스 성격 검사) – 일반적 성격 유형 파악 검사, 융 심리 유형론 근거 제작. 성격 유형, ISTJ ~ ENFP, 총 16개 유형. 각 유형별 장점, 개선점 제시.
예시: 다음 단어 중 자신에게 가까운 단어는? (1) 실제적 (2) 이론적
- (3) 자기 보고식 검사 장점/단점: 자기 보고식 검사, 장점, 경제적. 보통 집단 검사 실시, 비용/시간 절약. 단점, 피검자, 문항 의도 파악, 거짓 반응 가능.
- (1) MMPI(미네소타 다면적 인성 검사) – 정신 병리적 특성, 성격 장애 발견: 총 566개 문항 구성, 4개 타당도 척도, 10개 임상 척도. 4개 타당도 척도, 거짓 반응 L 척도, 남에게 자신 모습 꾸미려는 속임 반응 F 척도, 피검자 반응 타당성 K 척도, 무반응 문항 개수 ? 척도 등. 임상 척도, 특히 10개 척도. 1번 척도 Hs(심기증 척도) ~ Si(사회적 내향성) 척도. 검사 결과 분석, 10개 척도 프로파일 분석 의거.
- 2) 투사법 검사
- (1) Rorschach 검사: 총 10장 잉크 반점 제작 검사 카드. 검사자, 피검자에게 그림 자극 제시, “다음 그림 무엇으로 보입니까?” 질문, 피검자 반응 기록. 다음, 기록 토대로 채점 체계 따라 피검사 정신 상태 평가. 특히, 무의식적 정신 병리 상태 평가 주로 사용.
- (2) TAT(주제 통각 검사): 성격 심리학자 Murray 제작 투사법 검사, 총 20장 그림 카드 구성. 각 그림 제시, “과거 어떤 일 발생, 현재 어떤 일 진행 중, 앞으로 어떻게 일 전개될 것 같은지 이야기 구성” 지시. 피검자 이야기 반응 기록, 이를 토대로 현재 피검자 무의식적 심리 상태(특히, 욕구/동기(need), 환경적 요구/압력(pressure) 간 관계 파악) 파악 사용.
- (3) 투사법 검사 장단점: 장점, 자기 보고식 검사와 달리, 투사법 검사 경우, 자극 애매모호, 정답 X. 따라서, 피검자 검사 의도 인지 불가, 거짓 반응 불가. 단점, 검사/채점 많은 시간 소요, 개인 검사, 경제적이지 못함.
3. 심리 검사 제작 실제 (예: “주책 부리기 성격” 검사 제작)
(이 부분은 실제 검사 제작 과정을 단계별로 자세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예시로 제시된 “주책 부리기 성격” 검사는 실제 검사가 아니므로, 가상의 검사 제작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가상의 “주책 부리기 성격” 검사 제작 과정 (예시):
- 1단계: “주책 부리기” 개념 정의 및 조작적 정의
- 개념 정의: 상황이나 분위기에 맞지 않게 경솔하게 행동하거나 말하는 경향.
- 조작적 정의: (측정 가능하도록 구체화)
- 타인의 대화에 불쑥 끼어들어 관련 없는 말을 하는 빈도.
- 공공장소에서 큰 소리로 통화하거나 웃는 빈도.
- 다른 사람의 외모나 행동에 대해 공개적으로 평가하는 빈도.
- 자신의 생각이나 감정을 여과 없이 즉흥적으로 표현하는 빈도.
- 2단계: 문항 개발
- 조작적 정의를 바탕으로, “주책 부리기” 성향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을 개발합니다.
- 문항 유형은 객관식(예: 5점 리커트 척도), 개방형 질문, 상황 제시 후 반응 선택 등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습니다.
문항 예시 (5점 리커트 척도):
- 나는 대화 중 다른 사람의 말을 자주 끊는 편이다.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 나는 공공장소에서 큰 소리로 통화하는 것을 꺼리지 않는다.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 나는 처음 만나는 사람에게도 개인적인 질문을 자주 하는 편이다. (전혀 그렇지 않다 – 매우 그렇다)
- 3단계: 예비 검사 실시 및 문항 분석
- 개발된 문항들을 표본 집단(예: 대학생 100명)에게 실시하여 예비 검사를 진행합니다.
- 예비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항 분석을 실시합니다.
- 문항 변별도: 각 문항이 “주책 부리기” 성향이 높은 사람과 낮은 사람을 얼마나 잘 구별하는지 평가합니다.
- 문항 내적 합치도: 각 문항이 전체 검사와 얼마나 일관성 있게 “주책 부리기” 성향을 측정하는지 평가합니다. (크론바하 알파 계수 활용)
- 문항 반응 분포: 각 문항에 대한 응답 분포를 확인하여, 응답이 특정 척도에 치우치지 않고 고르게 분포하는지 확인합니다.
- 문항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부적절한 문항(변별력이 낮거나, 내적 합치도가 낮거나, 반응 분포가 치우친 문항)을 수정하거나 삭제합니다.
- 4단계: 본 검사 실시 및 표준화
- 수정/보완된 문항들로 구성된 최종 검사를 더 큰 규모의 표본 집단(예: 전국 성인 남녀 500명)에게 실시합니다.
- 본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규준(norm)을 제작합니다.
- 규준: 특정 집단(예: 성인 남성, 20대 여성 등)의 평균 점수와 표준편차를 계산하여, 개인의 점수를 상대적으로 비교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합니다.
- 5단계: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
-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반분 신뢰도, 동형 검사 신뢰도, 내적 합치도 등을 계산하여 검사의 일관성을 평가합니다.
- 타당도: 내용 타당도, 준거 관련 타당도, 구성 타당도 등을 검증하여 검사가 “주책 부리기” 성향을 얼마나 정확하게 측정하는지 평가합니다.
- 준거 관련 타당도 (예시): “주책 부리기 성격” 검사 점수와 실제 관찰된 “주책스러운 행동” 빈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합니다.
- 구성 타당도 (예시): “주책 부리기 성격” 검사 점수와 다른 성격 특성(예: 외향성, 충동성) 검사 점수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이론적 예상과 일치하는지 확인합니다.
이 장의 요약
- 심리 검사 제작 원리
- 1) 표준화와 규준
- 2)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반분 신뢰도, 동형 검사 신뢰도, 내적 일치도)
- 3) 타당도 (내용 타당도, 준거 관련 타당도, 구성 타당도)
- 심리 검사 유형
- 1) 지능 검사 (K-WAIS)와 EQ
- 2) 성격 검사 (MMPI, MBTI / Rorschach, TAT)
- 심리 검사 제작 실제
참고 문헌 및 참고 사이트
참고 문헌
- 이수원 외 공저(2002). 심리학 – 인간의 이해 -. 정민사.
- 김현택 외 공저(2003). 현대 심리학 이해. 학지사.
- 김영환 외 공저(2003). 교양심리학. 시그마프레스.
- 김유진 저(2001). 일상생활의 심리학. 시그마프레스.
- 김정희 외 공저(2002).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 페트리 저. 박소현 등 역(2002). 동기 – 이론, 연구 그리고 활용 -. 시그마프레스.
- 지글러 저 이훈구역(1985). 성격심리학. 법문사
- 이부영 저 분섬심리학 – C.G. Jung의 인간심성론 – 일조각
참고 사이트
- 한국심리학회: www.koreanpsychology.or.kr
- 한국발달심리학회: www.baldal.or.kr
- 한국 융 연구원: www.jung.re.kr
- (추가) K-WAIS: https://www.psycho.co.kr/goods/goods_view/K-WAIS-IV
- (추가) MMPI: https://www.psycho.co.kr/goods/goods_view/MMPI-2
- (추가) MBTI: https://www.psycho.co.kr/goods/goods_view/MBTI